김승희 2

덜그덕 2004. 10. 27. 14:04
김승희
2000년 11월 27일
오늘(11월 27일) 한겨레 신문에 김승희 시인이 새 시집을 들고 나왔더군요.
문득 시와 얽히게 된 때가 떠오릅디다.

교과서에 나오는 시들은 별로 재미가 없었습니다.
김수영이나 윤동주마저도 교과서에 나오는 시들-이를테면 '풀'이나 '서시','자화상'같은.
은 그 맛이 썼습니다.
도식화된 해석의 주입 탓이죠.
어느 국어 선생도 우리들 나름대로 해석할 여지를 주지 않았습니다.
단 한 번도.
언제나, 어떤 상징, 어떤 비유, 어떤 주제임을 강의받았죠.
잠자코 생각해보니 찬찬히 읽어본 기억도 거의 없습니다.
도막나 있고 밑줄 쳐진 해설만 봐야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 시절 시를 끔찍히 싫어했습니다.
이상한 인간들의 짧고 복잡한 암호 내고 풀기로 생각했었죠.

그러던 어느 겨울 -아마 고三이 되는 겨울이었을 겝니다. 답답한, 옴짝달싹할 수 없는 구렁 속에 빠져드는 느낌이 가득하던 때였죠.
저는 학교앞 독서실에서 먹고 자는 생활을 몇 달간 했습니다.
친구들 사이에 유행이었죠.
텁텁한 공기, 우중충한 조명, 우울한 사람들.
자기 책상에서 책을 읽든, 잠을 자든, 멍하니 딴 세상에 가든지
거기서 깨 있다가, 그 밑에서 이불 펴고 자는
지금 생각하기에 약간 깜찍한 나날이 계속되었습니다.

그 독서실 한 귀퉁이, 어느 책상에 시집이 있었습니다.
김승희의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였습니다.
제 평생 처음으로 읽은 시집이 바로 그 시집이었답니다.
그 한 귀퉁이, 누군가의 책상에 있는 대로 저는 읽었습니다.
곽재구, 김용택, 김남주, 김지하 다시 김승희.

그 때, 읽고, 갖다 놓고를 몰래몰래 하다가
결국, 저는 김승희의 '달걀 속의 생'과 '어떻게 밖으로 나갈까'는 갖다 놓지 않았습니다.
너무 좋아서,
갖고 싶어서.
지금도 제 책상엔 그 시집이 있습니다.

그 때를 돌이켜 보니 참 별 일이 다 있었군요.
왜 집을 떠나 독서실에 갔을까.- 우리집은 당시 학교에서 5분 거리였습니다.
친구랑 함께 있고 싶어서였죠.
그렇게 싫어하던 시는 왜 읽었을까.
조금의 보탬이나 뺌도 없이 심심해서였죠.

심심풀이로 접하게 된 시에 푹 빠지게 되다니. 고놈 참.
여하튼 그렇게 시에 빠지고서는 고三 내내 줄기차게 시를 썼습니다.
아주 똥 싸듯, 시를 썼죠.
반은 잃어버리고, 반은 어딘가에 남아 있는데
귀엽기 그지 없겠죠? 미우나 고우나 지 새낀데.

대학교에 들어가면서 저는 제가 열혈투사가 될 것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아까 말했던 그 귀퉁이의 시에 경도되어 - 특히, 김남주 시인을 좋아하다 못해 연모하며, 그의 시들에 울고 웃고 빡돌며, 강한 전투력을 오직 독학으로 체득하고 있었죠. 뭐, 서울이라는 거대함에 촌놈 완전히 넋이 나가 휘청대다가 이미 전투력을 상실하고 필요치도 않는, 풍물패와 정악연주회에 들어가는 바람에 봄바람에 눈녹듯 사라져 버렸지만요.

김승희 시인의 시집이 4-5년만에 다시 나온다니 설레서
지난 얘기를 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김남주를 위시한 강성한 참여시인 가운데, 김승희가 놓여 있었다는 것은 참 이상한 일인데,
저에게는 다행인 일이죠.
김승희 시인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하기로 합니다.
애증의 교차가 좀 심한 편이었는데.
참여시에 경도되어 있을 때는 그 잣대로 재단하는 바람에 사람 취급도 안했고,
다시 균형을 찾아서는 참, 세상에 대한 시각이 정밀하고 독특한 사람이라 생각했고, 시집 제목에 따라 그녀의 화두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여간 재미있는 일이 아니라 생각하며, 지금은 아껴서 보는 사람이 되었죠.
한겨레 신문 최재봉 기자에 의하면 페미니스트 시인이라는데
한 번, 읽어봐요.
재밌어요.
'달걀속의 生'이 첫 술로 좋을겁니다.

null
Posted by dalgial
,